이번 포스팅에서는 메이데리를 비롯해 항공 긴급통신 등 주요 항공 용어를 정리해 보았습니다. 항공분야 지식을 쌓고자 하는 분들께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작성해 보았습니다.
긴급통신 용어
메이데이(Mayday)
- 항공 및 해상에서 사용하는 최고 수준의 조난 신호입니다.
- 항공기가 즉각적인 위험(엔진 화재, 충돌 위기 등)으로 승객과 승무원의 생명이 위협받을 때 사용합니다.
- 무전에서 세 번 연속(Mayday Mayday Mayday) 송신하며, 현장 관제탑 및 주변 항공기의 즉각적인 지원을 요청합니다.
팡팡(Pan-Pan)
- ‘메이데이’보다 한 단계 낮은 긴급 신호로, 갑작스러운 결함이나 건강 문제 등으로 인한 ‘긴급’ 상황이지만 아직 치명적이지는 않을 때 사용합니다.
- 무전으로 세 번 연속(Pan-Pan Pan-Pan Pan-Pan) 송신하며, 우선 착륙이나 항공교통 우선권 등을 요청합니다.
스쿼크와 트랜스폰더
트랜스폰더(Transponder)
- 항공기 식별 및 위치 정보, 고도 등을 지상 관제소에 자동 송신하는 장비입니다.
- 관제사가 부여하는 ‘코드(Squawk Code)’를 설정하면, 레이더 스크린에 항공기 식별 정보가 표시됩니다.
스쿼크(Squawk)
- 트랜스폰더에 입력하는 4자리 숫자 코드(예: 1234)를 가리킵니다.
- 긴급상황 시에는 관제사가 특정 스쿼크를 지시하거나, 조종사가 스스로 긴급 코드를 입력합니다.
- 7700: 일반적인 긴급(General Emergency)
- 7600: 무전두절(Lost Communication)
- 7500: 항공기 납치(Hijacking)
스쿼크 7700을 입력하면 관제와 주변 항공기들이 즉시 인지하고, 해당 항공기에 우선권을 부여하는 등 즉각 조치를 취하게 됩니다.
무전 용어
로저(Roger)
- “해당 무전을 확인했다”는 의미입니다.
- 주파수가 좋지 않아도 간단하게 의사소통 가능하도록 국제적으로 널리 사용됩니다.
윌코(Willco)
- “지시사항을 준수하겠다”는 의미입니다.
- ‘Roger’가 단순히 “알았다”라면, ‘Wilco’는 “알았고, 그대로 시행하겠다”까지 포함됩니다.
오버(Over)
- “내 말은 끝났으니 상대방이 응답하라”는 뜻의 옛 무전 용어입니다.
- 최근엔 로저, 윌코 등이 일반화되면서 ‘오버’를 자주 쓰진 않지만, 여전히 해군·해상 교신 등에선 사용합니다.
Affirm / Negative
- Affirm: “예(Yes), 승인합니다”
- Negative: “아니오(No), 거부합니다”
- 시끄러운 무전 환경에서 Yes / No 대신 짧고 명확하게 사용할 수 있어, 혼선을 줄여줍니다.
항공기 운항 및 안전 관련 용어
버드 스트라이크(Bird Strike)
- 비행 중인 항공기가 새와 충돌하는 사고입니다.
- 엔진에 새가 빨려 들어가면 엔진 고장으로 이어질 수 있기에, 조류퇴치(조류방지 레이더·음향장치 등)가 매우 중요합니다.
윈드시어(Windshear)
- 짧은 거리 혹은 짧은 시간 내 바람의 속도나 방향이 급격하게 변하는 현상입니다.
- 착륙 직전 윈드시어를 만나면 항공기가 갑자기 양력을 잃어 추락 위험이 커지므로, 조종사와 관제사 간 긴밀한 기상 정보 공유가 필수입니다.
ETOPS(Extended-range Twin-engine Operational Performance Standards)
- 쌍발기(엔진 2개짜리 비행기)가 엔진 한쪽이 고장 나더라도, 안전하게 운항할 수 있는 범위를 정해놓은 규정입니다.
- 예: “ETOPS-180”이라면, 인접 비상착륙 공항까지 최대 180분 이내에 도달할 수 있어야 합니다.
TCAS(Traffic Collision Avoidance System)
- 항공기 간 충돌 회피를 위해 상호 간 위치·고도·속도를 계산해, 조종사에게 상승(Climb) 또는 강하(Descend)를 지시하는 시스템입니다.
GPWS(EGPWS)
- 지상 접근 경보 장치(Ground Proximity Warning System)로, 항공기가 산악 지형 등 장애물에 너무 가깝게 접근할 경우 조종석에 경보음을 울려주는 안전 장치입니다.
안전 절차 & 국제 표준
NOTAM(Notice To Air Missions / Notice To Airmen)
- 활주로 공사, 항로 변경, 기상 특보 등 항공 안전에 직접 영향을 미칠 수 있는 ‘항공고시보’를 뜻합니다.
- 전 세계 항공기와 조종사들은 비행 전 반드시 관련 NOTAM을 확인해야 합니다.
ICAO(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)
- 국제민간항공기구.
- 전 세계 항공 운항 표준, 절차, 안전 규정을 제정·관리하는 UN 산하 기관입니다.
FAA(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)
- 미국 연방항공국.
- 미국 영공 및 항공산업 전반을 관할, 국제 표준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는 기관입니다.
맺음말
항공 현장에서 오가는 용어들은 안전운항을 위해 정교하게 다듬어진 표현들입니다. 특히 메이데이(Mayday)나 팡팡(Pan-Pan), 스쿼크 코드(7700/7500/7600) 등은 조종사·관제사·정비사 등이 서로 긴급상황을 정확히 인식하고 신속하게 대응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.
- 작은 용어 하나가 긴급상황에서 생사를 가르는 의사소통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.
- 항공 전문 분야로 진출을 꿈꾸거나, 항공 지식을 업으로 삼으려는 분들은 이러한 국제 표준 용어를 체계적으로 학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“안전 운항은 사소한 용어라도 정확히 사용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.”
앞으로 비행기 여행을 할 때, 이 글에서 다룬 항공 용어들을 조금이나마 떠올려보시면 어떨까요? 보다 안전하고 전문적인 시각으로 비행을 즐길 수 있을 것입니다.